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주 4.3 사건은 무엇인가 ?

by oneday story 2018. 4. 3.
반응형

 

제주 4.3 사건 희생자 추념일

 

1948년 4월 3일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한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와 미 군정의 강압이 계기가 되어 제주도에서 일어난 민중항쟁의 법정기념일.

 

 

사건

 

제주 4.3 사건은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의미하는 5.10 총선을 방해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즉, 이 사건이 발생된 배경은 미군의 친일파 등용과 서북청년단 같은 극우단체의 폭력에 대한 제주도 주민들의 반발로 야기 되었다.

 

이 제주 4.3 사건은 한국 전쟁이 끝날 때까지 계속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3만명의 무고한 사람들이 학살당했다. 대부분은 서북청년단 등의 극우단체와 군경 토벌대에 의해 희생 되었다고 한다.

 

과정

 

1948년 4월 3일 새벽, 350명의 무장대가 제주도 내 24개 경찰서 가운데 12개 지서를 일제히 공격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 1954년 9월 21일 까지 6년 6개월간 지속되면서 엄청난 유혈사태가 되었다.

 

미군정은 4.3사건을 진압하기 위해 5월 5일 '제주도 비상경비 사령부'를 설치 후 즉각 각 도로부터 차출한 대규모의 군대, 경찰, 서북청년단등 반공단체를 보냈다. 여기에 맞서는 제주도 도민들은 한라산으로 들어가 인면 유격대를 조직하여 대응하였다. 무장대는 경찰과 서북청년단등 극우 반공청년단체의 탄압에 대한 반감과 저한, 남한 단독선거,단독정부 반대와 족구의 통일독립, 반미구국투쟁을 무장 항쟁의 기치로 내세웠다. 이 제주 4.3항쟁 사건으로 제주도 일부지역에서는 5.10 총선거가 실시되지 못하고 연기되었다.

 

 

 

결과 


제주 4·3 사건은 30여 만 명의 도민이 연루된 가운데 2만5천~3만 명의 학살 피해자를 냈다. 희생자의 수를 정확히 알기 어려워 만5천~2만이라는 주장에서부터 심지어 '8만 명 희생설'까지 나오고 있다. 3만 명이라는 숫자는 당시 제주도 인구의 10분의 1이다. 당초 토벌대가 파악한 무장대 숫자는 최대 500명이다.전체 희생자 가운데 여성이 21.1%, 10세 이하의 어린이가 5.6%, 61세 이상의 노인이 6.2%를 차지하고 있다.

 

그 실례로 제주 4.3학살피해자의 증언 중에는 극우청년들에게 어린이에 불과한 아들을 잃었다는 증언이 한겨레신문에 보도된 바 있다.

 

또한, 재일 한국인들 출신구성을 보면 제주도출신인 사람들이 상당히 많은데, 이는 제주 4·3 사건과 깊은 연관이 있다. 당시 군정경찰 및 서북청년단등의 반공 극우단체의 가혹한 탄압을 피하기 위해 이른바 '보트피플'로 현해탄을 건너 일본지역(주로 오사카지역)을 피난처로 떠나간 사람들이 많았다.

 

진상 규명 노력

 

제주 4.3학살피해자 가족과 시민단체에서 줄곧 진상 규명과 명예회복을 요구하였으나, 역대 정부는 이를 무시하였고, 오히려 금기시하였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 1998년 11월 23일 김대중 대통령이 CNN과의 인터뷰에서 "제주 4·3은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이 많으니 진실을 밝혀 누명을 벗겨줘야 한다."는 발언이 있었고, 1999년 12월 26일 국회에서 "제주4ㆍ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이 통과되고, 2000년 1월 12일 제정 공포되면서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에 착수하게 되었다. 조사위원회의 의견에 따라, 2003년 10월 31일 노무현 대통령이 '국가권력에 의해 대규모 희생'이 이뤄졌음을 인정하고 제주도민에게 공식 사과를 하였다.

반응형